[arduino] 디지털 신호 vs 아날로그 신호
전기 신호는 '주는 시점' 에 따라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로 구분된다
▶ 디지털 신호
신호를 주는 시간의 흐름이 불연속적이다
0, 1로 표현되는 신호.
전기가 들어오거나 들어오지 않는 것을 하나의 '신호' 로 이해한다
▶ 아날로그 신호
신호를 주는 시간의 흐름이 연속적이다
* 아두이노는 5v, 3.3v만?
아두이노는 다른 전자 부품을 연결해 쉽게 사용 할 수 있게 만든 장치이다
대부분의 전자 부품이 5v, 3.3v 전원을 사용한다
그래서 아두이노에서는 기본적으로 5v, 3.3v의 전원을 사용한다
* LOW, HIGH
아두이노는 0v를 LOW, 5v를 HIGH로 표현한다
회로 설계할 때도 0, 1 보다는 LOW, HIGH를 더 많이 사용한다
이렇게 LOW, HIGH로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정보량을 비트라고 한다
ex) 8bit -> 256가지 표현
* 아두이노에서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기
서킷에서 사용하는 아두이노 보드는 아두이노 우노(UNO)
총 14개의 디지털 핀(0 ~ 13번) 이 있다
디지털 핀 하나마다 디지털 입출력 신호 사용이 가능하다
▶ 디지털 신호를 활용한 구성요소
디지털 신호를 활용한 구성요소는 크게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로 구분한다
디지털 입력 장치는 HIGH, LOW 신호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거나, 특정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 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
디지털 출력 장치는 아두이노 보드에서 주는 신호에 따라 전등을 켜거나, 끄고, 모터를 동작시키고 멈추는 행위들을 수행하는 장치이다
▷ 서킷의 디지털 '입력' 장치
누름 버튼 : 다리가 4개인 버튼. 버튼을 눌렀을 때와 누르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부품이다
슬라이드 스위치 : 푸시 버튼과 다르게 한번 상태가 변경되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부품이다.
전등처럼 한번 켜고 끄지 전까지 상태를 유지할 때 사용한다
PIR 센서 : 움직임 감지 센서이다. 현관문 등의 센서에 사용된다 (passive infrated sensor) 수동적외선센서
▷ 서킷의 디지털 '출력' 장치
LED
LED RGV
DC 모터
하비 기어 모터
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
LCD 16 x 2